공조냉동 304

[시설관리/냉동장치]책임크레택 냉동장치 부속기기(2)

1. 전자전극봉식 가습기 하부↓ 2. 가습기전원부(빨간색:수위감지센서 / 가운데 검은색호수 : 가습분무노즐)↓ 3. 스크롤압축기↓다른 압축기와 달리 현장에서 사용될 경우 압축기 자체 온도가 높으므로 약간의 습압축을 하도록 설정한다. 4. 왕복동압축기 반밀폐식 고저압 변판↓ 5. 고압차단스위치(HPS), 차압차단스위치(DPS)↓ 6. 드라이어↓ 7. 실외기 팬모터↓ 8. 4방밸브(4Way valve)↓냉난방 전환용 9. 전자밸브(solenoid valve)↓

[시설관리/냉동장치]책임크레택 냉동장치 부속기기(1)

1. 압력스위치(DPS, HPS) 1) 위 사진 좌측에 길쭉한 스위치가 DPS(차압스위치)이며 DPS왼쪽은 고압부를 담당하고 DPS오른쪽은 저압부를 담당한다고하여 DPS-high와 DPS-low 로 부른다. 2) 위 사진 오른쪽 스위치는 팬모터용 HPS로 외기 부하에 알맞게 외기 팬의 cut-out / cut-in을 자동 조정해준다. 2. 파열판 ↑ 냉매용기에 설치된 파열판 용기의 온도와 압력이 올라가면 파열판이 먼저 파열되면서 용기의 파열을 막는 안전장치 3. 드라이어,사이트글라스,전자밸브 ↑ 위 사진은 왼쪽 부터 전자밸브, 사이트글라스, 드라이어이며 유체흐름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른다. 그러므로 위 사진의 설치 순서는 수액기 → 드라이어 → 사이트글라스 → 전자밸브 가 되겠다. 장치에 따라 사이트글..

[공조냉동기계기능사/산업기사실전필기]제39강 수액기,액분리기,유분리기(209p~220p)

오류수정1 : (47:50) 프레온의 경우 오일보다 비중이 "크므로" 냉매 상부에 고이게 되고 또한 오일을 잘 용해하므로 오일리턴(oil return)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운전 할 수 있게 한다. 오류수정2 : (11:49)순간 암산 실수로 25%를 35%라고 말하고있네요. ㅜㅠ 2016년 05월 08일 제작교사 : 강진규 최신 영상을 보시려면 아래주소로 가셔서 "구독"을 눌러주세요. ^^http://www.youtube.com/user/win1008kr 아프리카TV : http://afreeca.com/win1008kr 페이스북 : https://www.facebook.com/JKkangsem티스토리 : http://edukang.tistory.com